보험(insurance)/약관공부하기

특정외상성장기손상진단

jungsecret-insu 2025. 1. 21. 10:14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특정외상성장기손상진단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특정 외상성 장기 손상은 외부의 물리적 충격이나 사고로 인해 내부 장기가 손상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외상성 장기 손상은 주로 교통사고, 폭력, 낙상, 스포츠 사고 등으로 발생하며, 손상된 장기의 종류와 손상의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주요 장기 손상은 간, 비장, 신장, 폐, 장 등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외상성 장기 손상의 유형
1. 간 손상 (Liver Injury)
• 원인: 교통사고나 폭력 등으로 복부에 충격이 가해져 간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간은 혈관이 많이 분포한 장기이기 때문에 출혈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증상: 우측 상복부 통증, 복부 팽창, 출혈, 혈압 저하, 황달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치료: 경미한 간 손상의 경우 보존적 치료(휴식 및 안정)가 가능하지만, 출혈이 심각하거나 간 파열이 있을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는 출혈을 막고 손상된 부위를 복구하는 방식입니다.


2. 비장 손상 (Spleen Injury)
• 원인: 외상에 의한 비장 파열은 복부 외상의 흔한 원인입니다. 비장은 매우 민감한 장기로, 충격이나 타격으로 쉽게 파열될 수 있습니다.
• 증상: 상복부 통증, 복부 팽창, 저혈압, 혈뇨, 쇼크 상태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한 출혈로 인해 쇼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치료: 경미한 비장 손상은 보존적 치료(모니터링과 안정)로 회복이 가능하지만, 출혈이 심하거나 비장이 파열된 경우 비장 절제술(비장 제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신장 손상 (Kidney Injury)
• 원인: 교통사고나 스포츠 사고, 낙상 등으로 신장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져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증상: 복부 통증, 혈뇨(소변에 혈액이 섞임), 저혈압, 복부 팽창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치료: 경미한 손상은 보존적 치료로 회복이 가능하지만, 심한 출혈이나 신장 파열이 있을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출혈이 있는 경우 혈액 응고나 수술을 통해 출혈을 막을 수 있습니다.


4. 폐 손상 (Lung Injury)
• 원인: 교통사고, 낙상, 폭력 등으로 폐에 외상성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기흉(폐가 찢어져 공기가 누출되는 상태) 또는 출혈성 폐 손상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증상: 호흡 곤란, 흉통, 혈액이 섞인 가래, 저혈압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기흉이 발생하면 흉부의 압력 변화로 인해 호흡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치료: 기흉이 발생하면 흉관 삽입이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출혈이 심각하면 폐의 손상 부위를 수술적으로 치료해야 할 수 있습니다.


5. 장(소장 및 대장) 손상 (Bowel Injury)
• 원인: 외상, 사고, 폭력 등으로 복부 장기들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복부에 직접적인 충격을 받은 경우 장이 찢어지거나 구멍이 날 수 있습니다.
• 증상: 복통, 구토, 발열, 복부 팽창, 출혈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치료: 대부분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며, 손상된 장기를 봉합하거나 절제하는 방식으로 치료가 진행됩니다. 복부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항생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6. 심장 손상 (Cardiac Injury)
• 원인: 외상성 심장 손상은 교통사고나 물리적 충격으로 심장이 손상되는 경우입니다. 외부 충격으로 심장에 타박상이나 심장 근육 파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증상: 가슴 통증, 심박수 불규칙, 저혈압, 쇼크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치료: 심장 손상이 심각하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심장 마사지를 통해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응급 처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보험금 지급 사유

 

피보험자가 이 특별약관의 보험기간 중에 상해의 직접결과로써 ‘특정외상성장기손 상’으로 진단확정된 경우에는 최초 1회에 한하여 아래의 금액을 보험수익자에게 보험금으 로 지급합니다.(이하 ‘특별약관’은 ‘특약’, ‘이 특별약관의 보험기간’은 ‘보험기간’이라 합니다)

 

(무)현대해상퍼펙트플러스종합보험(세만기형)(Hi2406)

 

특정외상성장기손상의 정의 및 진단확정

 

 

특정외상성장기손상’이라 함은 제8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에 있어서 [별표119] ‘특정외상성장기손상 분류표’에 해당하는 질병을 말합니다. 단, 수술을 하지 않은 탈장 및 내부장기의 단순 부종이나 단순 울혈 등은 제외합니다.

특정외상성장기손상’의 진단확정은 의료법 제3조(의료기관)에서 규정한 국내의 병원, 의원 또는 국외의 의료관련법에서 정한 의료기관의 의사(치과의사 제외) 면허를 가진 자에 의하여 내려져야 하며, 이 진단은 병력, 이학적 검진과 함께 전산화단층촬영(CT scan), 자기공명영상(MRI), 초음파검사 등을 기초로 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피보험자가 사망하여 상기 검사방법을 진단의 기초로 할 수 없는 경우에 한하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진단확정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1. 보험기간 중 ‘특정외상성장기손상’으로 진단 또는 치료를 받고 있었음을 증명할 수 있는 문서화된 기록 또는 증거가 있는 경우

2. 부검감정서상 사인이 ‘특정외상성장기손상’으로 확정되거나 추정되는 경우

외상성 장기 손상의 진단은 신속한 평가와 적절한 영상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주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초기 평가 (Clinical Evaluation)
• 신체 검사: 환자의 의식 상태, 호흡, 맥박, 혈압 등을 체크하여 생명에 위협이 되는 급성 상태를 먼저 평가합니다.
• 병력 조사: 사고의 원인, 발생 시각, 사고의 종류 등을 확인하여 손상 가능성이 높은 장기를 평가합니다.


2. 영상 검사
• CT(컴퓨터 단층촬영): 장기 손상의 초기 진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복부 및 흉부 장기들의 손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혈, 골절, 내부 장기의 상태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초음파 검사 (FAST, Focused Assessment with Sonography for Trauma): 외상성 복부 손상의 경우, 빠르게 출혈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MRI(자기공명영상): 장기 손상이 의심되거나 CT로 확인되지 않는 세부적인 정보가 필요할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3. 혈액 검사
• 출혈의 정도, 장기 손상 정도 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며, 출혈성 쇼크나 감염 등의 합병증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특정외상성장기손상진단 가입금액

 

최소 10만원에서 최대 200만원까지 가입가능합니다. 

 

나이에 따른 보험료 차이 
상품 : 퍼펙트플러스종합보험(세만기형)(Hi2406)2종 납입면제형
납기/만기 : 20년납 100세만기
직업 : 1급 회사 사무직 종사자

 

나이(남성) 가입금액 보험료:원
30세(95년생) 100만원 109
40세(85년생) 100만원 136
50세(75년생) 100만원 173

 

나이(여성) 가입금액 보험료:원
30세(95년생) 100만원 42
40세(85년생) 100만원 48
50세(75년생) 100만원 53

 

-> 나이가 많아질수록 보험료가 비싸다는 걸 알 수 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보험료가 비싸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외상성장기손상은 수술 후에는 장기의 회복을 돕기 위해 물리치료나 재활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장기 기능 회복을 위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반응형